"개인"이신 경우 도장(사인가능), 주민등록등본사본(또는 신분증사본), 통장사본이 필요합니다.
"법인 또는 사업자"는 사업자인감도장, 인감증명서, 사업자등록증, 통장사본이 필요합니다.
음원 또는 저작물을 준비하여 전화를 주시거나, 메일로 문의를 하시면 상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메일 : ncaios@hanmail.net
전화 : 02.6677.3588
팩스 : 02.6339.1005
모든 자료가 준비된 후 당사에 제출하시면 국내 사이트는 1주, 외국 사이트는 최소 2주가 소요됩니다.
프로모션이 추가되는 경우에는 3주 이상 여유를 두어야 지정한 날짜에 발매가 가능합니다.
당사는 다양한 뮤지션들의 저작권 및 저작인접권을 관리대행하고 있습니다.
모든 음반과 작품들을 소중히 여기며 최선을 다하여 홍보하며, 관리해드리니 많은 아티스트들의 관심과 유통을
부탁드립니다.
네 가능합니다. 앨범을 등록할 때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국내와 해외를 동시에 유통합니다.
네 가능합니다. 개인으로 음원을 유통하실 수 있습니다.
① 음원 : 기본적으로 WAV 24bit 파일과 mp3 441/320k입니다.
② 앨범자켓 : 1800픽셀 이상의 jpg 파일
③ 가사
④ 앨범소개
⑤ 음원서비스사에 아티스트 등록을 원하실 경우 아티스트 소개와 프로필 이미지
⑥ 발매 앨범 정보 : 음원 정보를 형식에 맞게 작성해주세요.(Download 메뉴 → 1번 다운)
⑦ 해외 음원 코드 (ISRC) 발급을 위한 MIMS 회원 가입과 앨범 등록 (매뉴얼 자료는 Download 메뉴에 첨부)
⑧ 저작물 사용 승인서 : 타저작권자의 저작물 사용하여 음원을 제작하였을 경우 저작물 사용 승인을 받으신 후 승인서를 제출해주세요.
⑨ 뮤직비디오 : 방송사 심의가 완료된 MP4 영상 파일 (영상 첫 화면에 방송사, 심의날짜, 심의연령 필수)
카이오스와 계약을 하시면 가장 편리한 점이 저작권과 제작에 대한 저작인접권, 실연에 대한 저작인접권을 동시에 관리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저작권 : 작사, 작곡, 편곡, 역사
- 저작인접권 : 앨범, 음원 유통
- 실연 : 가창, 연주
네. 가능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이메일이나 전화로 문의를 주시면 답변하여 드리겠습니다.
카이오스 메인 메뉴 – SEARCH에서 아티스트명, 앨범명, 저작권자명, 곡명을 통해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공표된 음악 저작물을 편곡, 개사, 번안, 디지털 음원 또는 CD 제작 등을 위하여 사용할 경우 2차 저작물을 제작하기 전에 원저작자의 선 사용 승인이 필요합니다. 신청하신 저작물의 수정 사항이 없는 경우에 한하여 사용 승인의 과정은 약 2 주 정도 소요되는 점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현재 SEARCH 메뉴에서 확인되는 작가와 작품은 카이오스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Download 메뉴에서 신청서와 제출 자료 리스트를 확인 후 ncaios@hanmail.net 으로 신청자료를 보내주시면, 검토 후 회신을 드립니다. http://www.caios.co.kr/customer/customer.php?gubun=c1
[ 등록에 필요한 자료]
* 저작권
- 저작물 목록 리스트 작성 (Download 메뉴 → 7번 다운)
- 음원 (WAV 이상), 앨범 자켓 이미지 파일
- 가사가 포함된 악보
- 크레딧 리스트 (앨범 북클릿 또는 온라인 서비스사 캡쳐 증빙)
* 실연권
- 저작물 목록 리스트 작성 (Download 메뉴 → 7번 다운)
- 음원 (WAV 이상), 앨범 자켓 이미지 파일
- 크레딧 리스트 (앨범 북클릿 또는 온라인 서비스사 캡쳐 증빙)
위의 자료를 준비하셔서 ncaios@hanmail.net으로 보내주세요.
디지털 앨범 또는 CD로 앨범이 발매되기 전 사용자가 카이오스에서 사용 신청을 진행할 수 있도록 당사로 안내해주세요.
- 저작물 목록 리스트 작성 (Download 메뉴 → 7번 다운)
- 음원 (WAV 이상), 앨범 자켓 이미지 파일
- 크레딧 리스트 (앨범 북클릿 또는 온라인 서비스사 캡쳐 증빙)
- 위의 자료를 준비하셔서 ncaios@hanmail.net 으로 보내주세요.
번역 위원회를 구성하여 외국곡에 대한 번역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번역 위원회는 실질적인 업무를 주관하는 번역 위원을 중심으로 번역 협력위원과 번역 자문위원으로 구성되며, 번역의 모든 과정은 음악적인 요소와 성경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